본문 바로가기
중국 문화

간화자(简化字)의 정의와 역사

by 까오싱 라오스 2020. 5. 22.
반응형

 

 

 

우리는 간화자보다는 간체자(简体字)라는 용어에 더 익숙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간화자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바이두(百度)에 간체자로 검색을 하면 간화자에 대한 설명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사실 지금까지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는 간화자보다는 간체자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간화자라는 용어가 더 알맞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간화자는 왜 언제 만들어졌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간화자를 만든 목적

간화자를 만든 가장 큰 원인은 바로 문맹률입니다. 한자는 표의문자의 특성 상 글자에 음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그래서 교육을 받지 않으면 글자를 읽을 수 없습니다. 농경사회였던 봉건 중국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한 대다수의 국민들은 평생 문맹인 채로 살아야 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된 1949년 당시 문맹률이 약80%였다고 합니다. 인구의 대다수가 농민인 중국에서 농민을 교화할 필요가 있었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입장에서는 문맹률은 매우 큰 걸림돌이었습니다. 어려운 한자를 더 간단하게 만드는 작업인 간화자 제작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010년 기준 중국의 문맹률은 4.08%였다고 하니 간화자의 효과는 확실히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간화자의 정의

간화자는 공식적으로 공포한 간체자입니다. 보통 《第一批简体字表》、《简化字总表》와 《第二次汉字简化方案(草案)》에 포함된 글자를 가리킵니다. 1935년 8월에 중화민국 정부 교육부가 《第一批简体字表》를 발표합니다. 이는 총324자의 민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속자, 고자, 초서자를 수록했습니다. 하지만 논란이 지속되자 2년 후에 회수를 하게 됩니다. 이후 1954년에 중국문자개혁위원회가 설립되고 1956년 드디어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이 《汉字简化方案》를 공포하였으며 《简化字总表》를 제정하게 됩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것은 1986년에 공포한 《简化字总表》에 수록된 한자입니다. 이 표에는 총 2235자의 간화자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2000년 10월 31일 문자법이 통과되면서 2001년부터 정식으로 간화자가 중국의 법정 통용 한자의 지위를 얻게 됩니다.  

 

3. 간화의 방
간화의 방법은 대체로 일정한 법칙을 따릅니다. 그래서 법칙을 익히면 번체자를 간화자로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고자, 속자, 이체자, 새로운 자형을 사용함
고자
网、从、众、灾、气、黄、吴、离、杀、弑、吕、宫
속자
阴、阳、个、来、夹、双 、咏、边、寿、旧、昼、尽、亘、恒、雕、随、丽、医、声、亲、区、卧、乔、远、园、华、画、粮、怜、凭、泪、袜、宽、龟、点、么、启、脚、类、联、汚-污、対-对、圧-压、歯-齿、庁-厅、縂-总、顕-显、雑-杂、严、兽、县、鉄-铁、鉆-钻、鈡-钟、銹-锈、絵-绘、継-继、垻-坝、覌-观、覚-觉、頋-顾、帰-归、偹-俻-备 
이체자
峯-峰、峝-峒、峩-峨、娿-婀、鞌-鞍、羣-群、蹵-蹴、槩-概、鹅-䳘-鵞-䳗 
새로운 자형(인쇄를 할때 출현하는 이체자)
温、媪、蕴、奥、粤、摇、遥、兖、滚、没、殁、朵、剁、凉、毁、别 
행서와 초서의 해서화

讠、饣、丬、钅、农、长、韦、龙、为、汤、仓、呙、佥、专、门、马、鱼、车、东、缠、尧
홍콩과 타이완에서 이미 간화된 글자

龝-穐-秌-秋、龢-咊-和、龞-鳖、靁-雷、擡-抬、謼-呼、遯-遁、喫-吃、灋-法、巖-岩、爇-若、麤-粗、灶 
형성자의 성방(음을 담당하는 부수)
忧、优、扰、犹、构、沟、购、钩、织、炽、帜、识、钟、种、肿、岭、邻、捂、牺、汹、苹、沪
洁(结)、吨(盹)、炖(盹) 、咽(胭)、烟(胭)、块(快)、疟(虐)、酿(娘)
새로 만든 형성자
惊、响、护、矾、霉、碱、袅、丛、毕、毡、氂-牦
选、药 
형성자로 새로 편입된 글자
担、胆、捶、锤、酝、运、迟、迁、达、递、态、惧、桩、艺、捣、疿-痱
역성자(형성자의 음과 뜻을 동시에 갖고 있는 글자)
战、粮、痴 

회의자
愿、辞、尘、衅、撑、唇、选、牦、湿 
특징자
肃、萧、渊、积、跃、茧、庆、琼、衬、笋、队、穷、枣、灿、晒 
부분을 삭제한 글자
扫、妇、恳、垦、纵、盘、奋、夺、雾、灭、凿、习、虫、涩、乡、亩、壳、虽、务、隶、誊、竞、飞、巩、厘 
편방의 속성을 다시 가져온 글자
豿-狗、貍-狸、猫、猪,豺、豹、貂等
합병자
胡、须、松、梁、咨、刮、采、困、亏、云、电、涂、豆、果、听、号、与、秋、和、无、千、出、斗、丰、万 
이체자 합병
繖-伞、繈-襁、燄-焰、湏-须、彊-强、菴-庵、嚐-尝、粧-妆 
다의자 합병
几(茶几;几个)、郁(浓郁;忧郁)、吁(呼吁;气喘吁吁)、才(才能;刚纔)、丰(丰韵;丰盛)、漓(淋漓;漓江)、伙(伙食;夥计)、历(历史;历法)、凶(凶兆;凶手)、后(皇后;後来) 
분화
著-着、沈-沉、分-份

 

4. 간화자를 사용하는 지역

UN,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한국, 일본, 북한, 국제중국어교육(공자학원) 등에서 공식적으로 간화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면 타이완, 홍콩, 마카오 등의 지역과 해외에 거주하는 화교들은 아직도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제적 지위가 강화되면서 간화자의 지위도 덩달아 상승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1992년 중국과의 수교 전에는 번체자를 공식적으로 사용했지만 현재는 번체자를 포기하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부터 간화자를 배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