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문화20

The Controversy Surrounding Simplified Chinese Simplified Chinese, the writing system officially used in mainland China, has been at the center of heated debates and discussions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1950s. Created as part of a language reform initiative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primary objective of Simplified Chinese was to improve literacy rates across the vast and diverse population of China. However, while the reform succee.. 2024. 8. 31.
중국인의 일상: 중국인들은 아침을 어떻게 해결할까요? 중국의 아침 식사는 지역적 분위기가 강하게 작용합니다. 광활한 중국 전역에 걸쳐 제공되는 다양한 아침 식사는 문화만큼이나 다양하여 미각을 자극하는 경험을 보장합니다. 지역에 따라 아침식사의 풍경을 살펴보겠습니다. 북부지방북부 지역에서는 바오즈(包子 bāo‧zi )라고 알려진 맛있는 빵과 푸짐한 죽(粥 zhōu  )로 하루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육즙이 풍부한 돼지고기나 향긋한 야채로 속을 채운 이 별미는 하루의 시작을 편안하게 해주고, 종종 절인 조미료나 약간의 간장을 곁들인 죽의 단순함과 따뜻함이 더해집니다.   남쪽지방남쪽으로 향하면 자오즈(饺子 jiǎozi ) 부터 튀긴 춘권(春卷 chūnjuǎn)에 이르기까지 한 입 크기의 음식이 가득한 딤섬(点心 diǎn‧xin)을 좋아하게 됩니다. 남부의.. 2024. 8. 6.
중국의 현대 기념일 및 명절 총정리 안녕하세요. 까오싱 라오스입니다. 이번에는 중국의 현대 기념일과 명절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전통명절과는 다르게 현대 기념일은 모두 양력입니다. 또한 중국 자체의 기념일도 있는 반면 전세계에서 공통으로 기념하는 기념일도 있습니다.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엔단 元旦 yuándàn (양력 1월 1일)우리 말로 '원단'이라고 발음합니다. 양력 1월 1일은 전세계가 함께 축하하고 기념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특히 음력 명절을 쇠지 않는 서양의 경우는 양력 1월 1일을 더욱 중시합니다. 중국은 예로부터 음력 1월 1일인 춘제(春节chūnjié)를 더욱 중시해왔지만 현대에 들어와 양력 설인 元旦도 함께 중시합니다.  푸뉘제 妇女节 Fùnǚ Jié (양력 3월 8일)푸뉘제는 우리 말로 부녀절이라고 읽습니다. .. 2020. 6. 10.
중국의 긴주둥이차주전자 (장취호长嘴壶) 예술 장취호(长嘴壶 chángzuĭ hú )는 장류호(长流壶 Cháng liú hú)라고도 부르는 주전자의 한 종류로, 중국 특유의 다구입니다. 장취호 공연은 중국 차 문화의 한 분야이기도 하며 민간 예술의 하나로도 자리잡았으며 실용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 끓는 물이 긴 주둥이를 통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온도가 떨어지고 물이 잔에 담겼을 땐 마시기에 적당한 온도가 됩니다.  장취호의 기원장취호가 언제 기원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민간에서 전해내로오는 이야기나 몇몇 차 전문가 집단 사이에서 전해져올 뿐입니다. 첫번째 학설은 당나라 말기 문인들의 차 생활에서 기원했다는 설입니다. 서기756년 안사의 난이 발생하고 중원이 전란에 휩싸였을 때 쓰촨 지역은 비교적 전쟁으로부터 .. 2020. 6. 8.
중국어 발음 표기의 역사 중국어는 표의문자입니다. 즉, 발음을 표기한 글자가 아니라 뜻을 표기한 글자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태생적으로 글자와 음의 분리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중국의 발음표기의 역사는 한자의 역사와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자의 사용지역인 중국, 한국, 일본 등의 사람들은 옛날부터 음을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왔습니다. 그러면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시간의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음(直音)와 독약(读若) 서한(西汉) 시대에 완성된 중국 최초의 사전인 《이아尔雅Ěryǎ》 에서는 어떤 한자의 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그 한자와 음이 같은 다른 한자를 예로 들었습니다. 문장 형식이 'A,读若B'(A는 B와 같이 읽는다.. 2020. 5. 29.
중국의 국가 <의용군 진행곡义勇军进行曲> 우리는 중국과의 국가대표 대항 경기를 보거나 올림픽 중계를 볼 때마다 어렵지 않게 중국의 국가를 듣게 됩니다. 중국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려면 중국의 국가가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중국의 국가인 '의용군진행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래 제목은 '의용군 진행곡'이지만 우리말로 번역하여 '의용군 행진곡'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먼저 영상으로 중국의 국가를 들어보겠습니다. youtu.be/-W4YetUHhKM 중국 국가의 제정 과정재밌는 것은 이 곡이 영화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입니다. 원래 이 곡은 영화 《풍운아녀(风云儿女Fēngyún érnǚ)》의 주제곡이었을 뿐 아니라 공산당의 숙적이었던 국민당을 대표하는 곡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곡이 만들어질 당시 중국 대.. 2020. 5. 29.
중국인이 좋아하는 숫자 총정리 중국어는 언어의 특성 상 동음이의자가 매우 많습니다. 즉 많은 한자가 같거나 비슷한 발음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서로 다른 글자를 음이 같거나 비슷하다는 이유로 연결 짓는 경우가 많이 보입니다. 숫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냥 수를 세는 숫자일 뿐이지만 의미를 부여합니다.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숫자를 세 개 고르라면 6, 8, 9를 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중국인들이 이 숫자들을 좋아하는 이유와 그 연원을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1. 8 八 bā    중국인이 왜 8을 좋아하는지의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명들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8의 중국어 발음인bā가 '돈을 벌다(发财)'에서 '벌다'라는 뜻의 한자 发 fā의 발음과 비슷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사실 보통화(표준어)에.. 2020. 5. 25.
중화권 최고의 스타 주걸륜(周杰伦)에 관한 모든 것 지금은 다양한 대중매체의 발달로 정말 많은 중화권 스타들이 우리나라에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20여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꾸준하게 인기를 끌어온 국민배우 겸 가수가 있습니다. 바로 저우지에룬(周杰伦 Zhōu jiélún)입니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주걸륜이란 이름이 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젊은이들 중에 이라는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은 정말 드물 것입니다. 또 이 영화의 OST를 안들어본 사람도 드물 것입니다. 그럼 주걸륜의 인생과 프로필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걸륜의 태생과 가수와 배우로서의 삶 주걸륜은 1979년 1월 18일 타이완의 신베이 시에서 태어났습니다. 원래 조상은 푸젠성 취엔저우 시 출신이라고 합니다. 그가 4살이 되던 해에 어머니 叶惠美 Yè huìměi가 그를 淡江.. 2020. 5. 23.
간화자(简化字)의 정의와 역사 우리는 간화자보다는 간체자(简体字)라는 용어에 더 익숙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간화자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바이두(百度)에 간체자로 검색을 하면 간화자에 대한 설명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사실 지금까지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는 간화자보다는 간체자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간화자라는 용어가 더 알맞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간화자는 왜 언제 만들어졌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간화자를 만든 목적간화자를 만든 가장 큰 원인은 바로 문맹률입니다. 한자는 표의문자의 특성 상 글자에 음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그래서 교육을 받지 않으면 글자를 읽을 수 없습니다. 농경사회였던 봉건 중국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한 대다수의 국.. 2020. 5. 22.